녹내장 종류 3가지 및 녹내장 예방 수칙
녹내장 종류에 대해 알아보고 평소 생활습관 개선으로 녹내장을 예방할 수 있는 수칙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녹내장이란?
녹내장이란 눈 안에 있는 시신경이 점점 약해지면서 시야가 좁아지기 시작하다가 나중에는 실명에 이를 수 있는 무서운 질병입니다.
녹내장 원인
녹내장이 발생하는 주요 요인은 시신경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안압입니다. 또한 눈의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한 것도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그러므로 안압을 낮춰 녹내장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이 치료의 핵심입니다.
녹내장 종류 3가지
◆ 정상 안압 녹내장
개방각 녹내장 중의 하나로 안압이 정상범위인 10~20mmHg인데도 불구하고 발생하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빈도수가 높은 녹내장입니다.
정상 안압 범위는 녹내장이 없는 사람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시신경이 약한 사람에게는 정상 안압도 상대적으로 높은 안압일 수 있습니다.
즉, 정상 안압인데 시신경이 소장된다는 것은 그만큼 다른 사람들보다 약한 시신경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기 때문에 안압이 정상 범위 안에 있어도 충분히 낮춰주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근시가 있는 경우 녹내장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근시가 있다면 나이에 상관없이 정기검진을 받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다행히 정산 안압 녹내장은 잘 관리만 한다면 대부분 진행속도가 빠르지 않아 실명까지 되는 경우는 잘 없습니다.
◆ 폐쇄각 녹내장
눈 속을 흐르는 방수가 지나는 길인 주변부 홍채와 각막 사이의 전방각이 막히면서 안압이 올라가서 생기는 녹내장입니다. 안압이 급격히 올라가면 눈이 충혈되고 아프고 흐리게 보입니다.
방수가 지나는 길을 다시 열어 주기 위해 레이저나 수술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 이차성 녹내장
눈 속의 염증(포도막염)이나 외상, 망막질환(당뇨망막병증, 망막혈관폐쇄)의 합병증 등에 의해 방수가 지나는 길이 막혀 안압이 올라가 발생하는 녹내장입니다. 이차성 녹내장은 원인 질환도 같이 치료해야 합니다.
녹내장 진단 및 의료
◆ 진단
녹내장 진단 포인트는 안압측정, 시신경 검사(시긴 경 구조), 시야 검사(시신경 기능)입니다. 검사마다 각각의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눈 상태에 따라 필요한 검사들을 진행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정기 검진으로 더 나빠지지 않았는지 확인하고 나빠졌다면 치료를 강화해야 합니다.
◆ 치료
녹내장은 시신경이 약해지는 질병이므로 치료한다고 좋아지거나 완치되지 않습니다. 단지 더 진행되는 것을 막고 현상유지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녹내장 진행을 막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안압을 충분히 낮춰주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경우 안압을 낮추는 안약을 꾸준히 점안하는 것만으로도 진행을 늦추거나 막을 수 있습니다.
녹내장도 수술이 되나요?
약물치료만으로 안압조절이 잘 되지 않은다면 안압을 낮춰주는 녹내장 수술을 해야 합니다. 그러나 녹내장 수술을 해도 녹내장이 완치되는 것은 아닙니다.
녹내장을 위한 올바른 안약 사용 수칙
- 사용 횟수 준수
- 매일 일정한 시간에 규칙적으로 점안하기
- 사용 전 손 깨끗이 하기
- 아래 눈 꺼불을 아래로 당겨서 벌어진 공간에 점안하기
- 한 방울만 점안하기
- 눈에 안약 용기의 끝부분이 닿지 않게 하기
- 눈 주위에 묻은 안약은 살짝 눌러서 닦아내기
- 점안 후 눈 깜빡이지 말고 살짝 감고 있기
- 다른 안약과 함께 사용할 경우 분 이상 간격 두기
녹내장 예방을 위한 생활 수칙
- 안과검진 정기적으로 받기
- 스트레스받지 않기
- 항산화 효과 있는 야채, 과일 섭취하기
- 규칙적이고 적절한 수면 취하기
- 금연 및 절주 하기
- 넥타이, 옷, 허리띠는 너무 조이지 않게 하기
- 자전거 타기, 달리기, 등산 등 유산소 운동 규칙적으로 하기
- 안압을 높일 수 있는 벤치프레스, 물구나무서기 등을 무리해서 하지 않기
- 눈과 전자기기(컴퓨터, 텔레비전, 스마트폰 등) 사이 적정 간격 유지하기
- 어두운 곳에서 전자기기 사용하지 않기
- 고개 숙인 자세로 장시간 전자기기 사용하지 않기
댓글